측량은 작업지역의 넓이, 목적, 측량장비, 측량방법 및 측량법 등에 따라 분류를 하고 있다.

1. 측량넓이에 따른 분류

측지측량 : 측량 구역이 넓은 지역의 측량으로 지구표면을 곡면으로 보아 지구의 곡률을 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려하는 측량 (구면삼각법 적용)

평면측량 : 측량 구역이 좁은 지역의 측량으로 지구표면을 평면으로 가정하는 측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평면 삼각법 적용)



2. 측량목적에 따른 분류

토지측량 : 토지면적, 경계선 측정, 지도를 만들고 지형지물 위치를 도면 위에 나타내는 측량

수준측량 :  지형의 표고 차를 구하는 측량

지형측량 :  토지의 평면위치와 표고를 동시에 측정하여 지형도를 만드는 측량

노선측량 : 길이에 비해 폭이 비교적 좁은 도로, 철도, 수로 등의 계획 및 공사측량

수로측량 : 하천, 항만 등에 관한 측량 수위, 유량, 조류, 수심 등의 측정이 포함

터널측량 : 터널의 계획, 시공 등에 필요한 측량

천문측량 : 북극성을 관측하여 지구상의 위치를 정하거나 방위각 경위도 위치를 정하는 측량



3. 측량 장비에 의한 분류

거리측량, 평판측량, 레벨측량, 트랜싯측량, 육분의측량, 사진측량, 기압측량



4. 측량법에 의한 분류

기본측량 : 모든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, 국토해양부장관의 명을 받아 국토지리정보원장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실시하는 측량으로 기준점측량, 정밀수준측량 등이 속한다.

공공측량 : 기본측량 이외의 측량 중 국가, 지방자치단체, 정부투자기관 등이 실시하는 측량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(기본측량, 다른 공공측량 성과를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)

일반측량 :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 이외의 측량

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 :
국지적 측량 또는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측량으로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고시하는 측량,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, 수로 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



5. 측량순서에 의한 분류

골조측량 : 측량구역 전체에 조건이 만족되게 골조를 만든다.

세부측량 : 골조가 된 각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그 점을 기준으로 하여 세부의 측량을 하게된다.

'측량학 > 총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평면직각좌표계 (원점의 위치)  (0) 2011.03.07
UTM 좌표계, UPS 좌표계  (0) 2011.03.07
측량에 이용되는 기본 단위  (0) 2011.03.06
우리나라 측량 역사  (0) 2011.03.03
측량 (Surveying)  (0) 2011.03.03
Posted by 액션보이
,